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1

코인원·코빗, 거래량 급증에도 적자 탈출은 미지수 – 2025 실적 전망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과 코빗이 2023년 가상자산 시장의 강세에 힘입어 거래량과 매출이 크게 증가했지만, 여전히 누적 적자와 운영비 증가로 인해 실적 개선의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1. 거래량 급증 및 매출 증가 전망거래량 2배 이상 증가: • 코인원: • 2022년 185억 달러 → 2023년 305억 달러 (약 70% 증가) • 코빗: • 2022년 64억 달러 → 2023년 122억 달러 (약 90% 증가)매출 상승 가능성: • 가상자산 거래소의 주 매출원은 거래 수수료로, 거래량 증가에 따라 매출도 대폭 증가할 전망입니다. • 2022년 기준 매출: • 코인원: 224억 원 • 코빗: 17억 원📌 2. 당기순이익 개선 가능성비트코인 시세 상승 영향: • 2023년 **비트코인(.. 2025. 1. 10.
삼성전기, CES 2025에서 전고체 전지 및 유리기판 양산 계획 발표 삼성전기 장덕현 대표이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고체 전지와 유리기판 등 차세대 기술의 양산 계획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전고체 전지: 2025년 하반기 양산삼성전기는 2025년 하반기부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용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꿈의 배터리’**로 불리며,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크게 개선한 차세대 기술입니다.전고체 전지의 주요 특징: • 적용 기기: • 갤럭시 링(Galaxy Ring) • 갤럭시 버즈(Galaxy Buds) • 갤럭시 워치(Galaxy Watch) • 에너지 밀도: 업계 최고 수준 확보 • 안전성: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폭발 위험 감소 • 생산 라인: 기존 적층세라믹캐패.. 2025. 1. 9.
SK텔레콤의 ‘K-AI 얼라이언스’, CES 2025에서 글로벌 AI 협력 확대 SK텔레콤이 주도하는 K-AI 얼라이언스(Korean AI Alliance)가 CES 2025에서 출범 2년 만에 성과를 발표하고, AI 기술 혁신 및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이 연합은 국내 AI 스타트업과 IT 기업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AI 생태계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K-AI 얼라이언스의 CES 2025 주요 성과SK텔레콤은 1월 8일(현지시간) CES 2025에서 IR 피칭 데이를 개최하여 멤버사들이 AI 기술을 발표하고 글로벌 협력 가능성을 확대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참여 멤버사 및 기술 발표: • 페르소나AI: 엣지 AI 기술 및 데이터 처리의 미래 전망 발표 • 임프리메드: AI를 활용한 인간 및 동물 대상 항암제 효능 예측 기술 소개 • 래블업: .. 2025. 1. 9.
중국 로봇청소기, CES 2025에서 혁신적 신제품 공개 – 후발주자인 삼성·LG에 더 큰 위기 CES 2025에서 중국 로봇청소기 업체들이 로봇 팔과 다리를 장착한 신제품을 선보이며, 삼성전자와 LG전자를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기존의 청소 기능을 넘어선 혁신적 기술력으로 글로벌 로봇청소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 로보락 ‘Saros Z70’ – 로봇팔 탑재한 올인원 청소기중국 가전업체 **로보락(Roborock)**은 CES 2025에서 Saros Z70을 공개했습니다. 세계 최초로 **5축 접이식 로봇팔 ‘옴니그립(OmniGrip)’**을 탑재한 로봇청소기로, 기존의 청소 방식에 로봇 기술을 결합했습니다.주요 특징: • 로봇 팔 기능: • 최대 300g 이하의 물체(양말, 수건, 샌들 등) 들어 올릴 수 있음 • 장애물이 감지되면 로봇 팔이 해당 물체를 치운 후 청.. 2025. 1. 9.
삼성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노트북용 롤러블 OLED 양산 발표 (CES 2025)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노트북용 롤러블(Rollable) OLED 디스플레이의 양산을 2025년 4월부터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2025에서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레노버의 신제품 ‘씽크북 플러스 G6 롤러블(ThinkBook Plus G6 Rollable)’**에 해당 패널을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레노버는 CES 2025에서 이미 해당 제품을 일부 공개했으며, 오는 2025년 6월 글로벌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롤러블 OLED 디스플레이의 혁신적 특징삼성디스플레이의 롤러블 OLED 기술은 기존 노트북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뛰어넘는 확장형 화면을 제공합니다.화면 크기와 비율 변화 • 롤 인(Roll.. 2025. 1. 9.
CES 2025 현장 분석: AI 유니버스와 보안 혁신을 중심으로 CES 2025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었으며, 삼성전자, LG전자, SK그룹 등 한국 주요 기업들이 AI 유니버스를 중심으로 한 혁신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올해의 핵심 주제는 **“경계를 허물고 보안은 강화하는 AI 기술”**로, AI를 통한 기기 연결성과 보안을 강조하고 있습니다.1. 삼성전자: ‘AI 홈’과 보안 중심 스마트싱스삼성전자는 3,368㎡(약 1,019평)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모두를 위한 AI”**를 주제로 다양한 AI 솔루션과 스마트홈 기술을 공개했습니다.주요 전시 기술 • 스마트싱스 기반 ‘AI 홈’ 솔루션 •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5가지 유형의 집 사례 전시. • 비스포크 AI 콤보(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스팀(청소기) 등이 자동으로 에너.. 2025. 1. 7.
삼성전자 4분기 실적 하향 조정과 주요 원인 분석 삼성전자는 2025년 1월 8일 작년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국내 증권사들은 이미 영업이익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3분기에 이어 4분기 실적 역시 메모리 반도체 부진,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디스플레이 수익성 악화 등 여러 요인으로 실망스러운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1. 4분기 영업이익 하락 요약하향 조정된 실적 전망치 • 매출: 약 76조 원 • 영업이익: 약 7조 원 (당초 예상 15조 원 → 12조 원 → 10조 원 → 최근 7조 원으로 하향) • 전분기 대비: 9조 1,800억 원(3분기) 대비 약 23% 감소 예상2. 주요 원인: 반도체 부문 부진삼성전자의 실적 악화의 핵심 원인은 반도체(DS: Device Solutions) 부문의 실적 부진입니다.(1) 메모리.. 2025. 1. 7.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변화와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실적 이번엔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변화와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실적을 자세히 분석합니다.1. 글로벌 배터리 시장 현황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전 세계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약 785.6GWh로 전년 동기 대비 26.4%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국내 3사의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3.7%p 하락한 19.8%에 그쳤습니다.국내 3사는 사용량 자체는 증가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과 유럽의 전기차 시장 부진과,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약진 때문으로 분석됩니다.2. 국내 배터리 3사 개별 실적(1) LG에너지솔루션 (LGES) • 사용량: 91.4GWh • 전년 .. 2025.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