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1

빅테크의 새로운 경쟁인 로봇 AI 1. 날아오는 공을 잡아내는 ‘옵티머스’가 보여준 미래최근 X(옛 트위터)에서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가 사람의 공을 척척 받아내는 영상이 올라와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기존 산업용 로봇이나 가정용 로봇이 미리 정해진 동작을 반복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옵티머스는 마치 사람처럼 직관적으로 움직이며 무작위로 던진 공도 한 손으로 잡아챕니다. 단순히 ‘준비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넘어, AI가 추론과 학습을 통해 새로운 동작까지 수행한다는 점이 이번 시연의 핵심입니다.테슬라는 전기차와 자율주행 분야에서 축적해온 막대한 데이터와 AI 기술력(특히 비전 및 강화학습 기술)을 이제 인간형 로봇 분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AI 휴머노이드가 가지는 의미는, 사람과 유사한 움직임을.. 2024. 12. 26.
AI 수익성에 대한 빅테크의 우려 1. 글로벌 기업들이 지목하는 ‘AI 위험 요소’ 1. 포천 500대 기업의 AI 인식 변화포천(Fortune)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 중 281개사가 올해 연례재무보고서(SEC Form 10-K)에 인공지능(AI)을 잠재적 위험 요소로 기재하였습니다. 이는 이전 연도 대비 473%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생성형 AI를 명시한 108개 중 75개(약 69.4%)가 해당 기술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 과거에는 AI를 비즈니스 혁신의 촉매제로만 바라보는 시선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윤리·사회적 논란, 지식재산권 침해, 불투명한 투자 회수 가능성 등을 우려하며 위험을 명시하는 기업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 생성형 AI를 “기회”로만 기술한 기업은 소수(9개)에 불과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 2024. 12. 25.
바이오산업 주요 기업 정리 바이오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의약품, 재생의학, 농업, 바이오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및 지역 선도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래는 글로벌 주요 기업과 한국 주요 기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1. 글로벌 주요 기업1-1. 화이자(Pfizer) • 설립: 1849년 (미국) • 주요 분야: • mRNA 백신: 코로나19 백신(코미르나티, BioNTech와 협력). • 항암제(키트루다), 희귀질환 치료제. • 강점: •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의약품 시장 선두. • mRNA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제 개발 확대. • 활용 사례: • 코로나19 대응을 통한 mRNA 백신 상용화.1-2. 모더나(Moderna) • 설립: 2010년 (미국) • 주요 분야: .. 2024. 12. 25.
삼성 스마트폰 점유율의 현실 : 박리다매와 애플과의 격차 심화, 중국폰과 차별성 없음 이번 포스팅은 삼성전자가 판매량 기준으로는 1위를 지켰지만 ‘매출’ 지표에선 애플과 격차가 큰 현실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장점유율을 두고 ‘허울뿐인 1위’라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 그리고 향후 전망에 초점을 맞춰보겠습니다.1. 허울뿐인 ‘시장점유율 1위’올해 3분기에도 삼성전자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19.0%로, 16.0%를 기록한 애플과 14.0%의 샤오미를 앞섰습니다. 전체 출하량도 약 5750만 대로 애플(5450만 대)보다 많았습니다.하지만 이와 같은 ‘판매량 1위’ 타이틀이 곧 ‘실적 1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매출 기준으로 보면 상황은 전혀 다릅니다. 2분기 스마트폰 매출 점유율 기.. 2024. 12. 25.
애플의 인도 시장 가성비 모델로 공략 : 1위 탈환 목적과 삼성전자의 대응 1. 애플이 ‘가성비 카드’를 다시 꺼내는 이유 1. 아이폰SE4 출시설 •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이르면 2024년 봄(3년 만)에 아이폰SE 신작을 선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 가격 인상 억제: 기존 모델(아이폰SE3) 대비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자체 개발 모뎀 칩(‘시노페’)을 탑재해 부품 단가를 낮추려는 시도로 풀이됩니다. 2. 프리미엄 시장 1위 애플, 왜 저가 모델? • 애플은 북미·유럽 등 선진 시장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부문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 800달러(약 114만원) 이상 고가폰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이 77%에 이를 만큼 탄탄한 구조를 갖추고 있음에도, 왜 다시 ‘가성비 모델’을 내놓겠다고 나서는 걸까라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3.. 2024. 12. 25.
삼성전자 OS와 소프트웨어 경쟁력 상실과 구글에의 종속 : 바다 타이젠 실패와 애플 OS와의 격차 1. 삼성전자의 ‘영속적 구글 의존’: XR에서도 반복되는 선택 1. ‘프로젝트 무한’에 또 안드로이드 • 삼성전자는 최근 차세대 XR(확장현실) 기기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N)’을 발표했지만, 이 기기에도 구글 안드로이드를 탑재한다고 밝혔습니다. • 이는 스마트폰 사업에서 이미 수년간 반복해온 안드로이드 의존을 XR 분야에서도 답습하겠다는 선언과 다름없습니다. • 업계 안팎에서는 “결국 삼성전자가 향후 XR 생태계에서도 구글에 종속되겠다는 것”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2. 독자 OS 포기… 이젠 선택 아닌 ‘습관’ • 삼성전자는 과거 바다·타이젠 등 독자 OS를 시도했다가 중간에 접었는데, 그 이후 사실상 “우린 안드로이드만 쓰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 2024. 12. 25.
드론 산업: 현황, 기술 발전, 주요 기업, 규제, 그리고 미래 전망 드론(Drone)은 군사, 산업, 상업, 개인용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첨단 기술 발전과 규제 완화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중 하나입니다. 드론은 항공 기술, 인공지능, IoT, 5G 통신과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물류, 농업, 건설, 국방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드론 산업의 현황, 기술 발전, 주요 기업과 활용 사례, 규제,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봅니다.1. 드론 산업의 현황1-1. 시장 규모 • 글로벌 시장 규모: • 2023년 기준 약 300억 달러로 추산되며, 2030년까지 연평균 12% 이상 성장하여 약 9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지역별 시장 점유율: • 북미: 드론 기술 개발과 상용화의 선두주자.. 2024. 12. 25.
한국과 중국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 비교 한국과 중국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글로벌 경쟁에 뛰어들고 있지만, 두 국가의 기술 수준, 데이터 활용, 정부 정책, 인프라 구축 등에서 차이가 나타납니다. 특히, 한국은 안정성과 규제 준수에, 중국은 빠른 상용화와 데이터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어 서로 다른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 정부 정책, 데이터 확보 전략, 그리고 미래 전망을 비교 분석합니다.1. 자율주행 기술 수준 비교1-1.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 1. 기술 단계: • 현재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은 Level 2~3 수준에 집중되어 있으며,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와 같은 조건부 자율주행이 상용화 단계. • Level 4 이상의 완전 자율주행은 테스트 및.. 2024. 12. 25.